From2050, Monthly Letter From2050 #011. : 로컬, 지방, 지역 안녕하세요? LAB2050 입니다.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단어가 여럿이라면, 보통 입맛에 맞게 쓰이죠. 새로운 가치와 혁신에 주목한 사람은 ‘로컬’의 힘을, 수도권 중심의 서열체계에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은 ‘지방’을, 공동체의 사회적 연결을 외치는 사람은 ‘지역’을 말했습니다. 11월, 참성장포럼의 세 번째 세션에서 다룬 '지역소멸'이라는 주제의 온도는 매우 뜨거웠습니다. 불쏘시개는 저출생∙고령화 현상이었고,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무엇보다 문제의 온도를 있는 그대로 인지해야 해결책이 보인다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포럼의 내용은 유튜브 영상으로 다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달 LAB2050에서도 뜨거운 온도의 단어들을 생산하고 확산했습니다.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보고서에 풀어냈고, '부동산' 연구결과도 여전히 인용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돌봄도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국회에서 사회복지 예산 확충과 GDP 대안지표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찬찬히 읽어보시고 마음에 드신다면, 별표⭐️로 이 메일을 표시하고 주위의 지인에게도 알려주세요. 고맙습니다. LAB2050_소식 1 / 참성장포럼: 지역소멸을 넘어서는 일과 삶의 재구성 참성장포럼의 세 번째 세션에서는 지역소멸의 근본적인 원인을 짚어보았습니다. 당면한 위기를 어떻게 헤쳐나갈지 일자리, 복지, 정책, 산업현장에서의 전략을 모색해봅니다. 2 / [인사이트2050] 사회적 인간지능: 인공지능 시대의 인적자본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전환 시대, 인간은 어떤 역량을, 어떻게 키워가야 할까요?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역할은 무엇일지 고민한 내용들을 보고서에 담았습니다. 3 / 종부세와 함께 다시 떠오르는 부동산 계층 연구: <한국의 부동산 부자들> 지난 7월 발행한 <한국의 부동산 부자들: '한국 부동산 계층 DB'로 본 계층별 사회경제적 특성> 보고서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GS&J 인스티튜트에 발표했습니다(GS&J 보고서 보기). 참여연대에서는 보고서를 인용해 대선후보에게 공개질의서를 발송했습니다(기사 보기). LAB2050_활동
LAB2050의 새로운 소식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먼슬리레터를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1분만 시간을 내셔서,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을 전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먼슬리레터의 구성, 받으시는 시간대, 내용 등 어떤 것이든 좋아요. |
LAB2050이 그동안 발행했던 뉴스레터를 한 페이지에서 모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