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2050, Monthly Letter From2050 #008. : 상위 2%의 얼굴, 그 이후 안녕하세요? LAB2050 입니다. ‘부동산 공화국’이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요즘, 캄캄한 밤에 길을 찾는 듯한 답답함에 직접 불을 비추어 보기로 했습니다. 몇 달 동안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부동산 계층화의 실태를 진단하는 보고서를 냈습니다. 시사인과 협업해 ‘부동산 상위 2% 페르소나’를 중심에 둔 기획기사도 기고했습니다. 분명한 반응이 돌아왔습니다. 보고서 내용 중 ‘가계부채’ 문제를 심층 분석한 기사가 보도되었고, 카페, 게시판 등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회자되었는지 보고서 페이지에 불이 났습니다. 브리핑 영상도 곧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됩니다. 가볍게 공지한 대화모임에는 연구자와 학교 선생님, 부동산 중개업소 사장님까지 많은 분들이 모였습니다. 참석자 중 한 분은 “부동산과 관련해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데이터 기반 분석을 내보인 건 처음인 것 같다. 아직 솔루션을 찾기에는 어렵지만 이런 연구들로 조금씩 해답이 보일 것 같다”고 소감을 밝히셨습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충실한 분석이 망망대해를 비추는 등불의 역할은 한 느낌입니다. 아직 명확한 대안은 없습니다. 더 연구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지혜와 참여를 기다립니다. 이번 달에도 열심히 달려온 LAB2050 식구들의 활동 소식을 담아 이번 From.2050 레터를 보내드립니다. 찬찬히 읽어보시고 마음에 드신다면, 별표⭐️로 이 메일을 표시하고 주위의 지인에게도 알려주세요. 늦여름의 여운도 남기지 않고 9월이 다가올 듯 합니다. 여분의 겉옷 챙기며 가을을 준비하고, 모쪼록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LAB2050_소식 1 / <한국의 부동산 부자들: '한국 부동산 계층 DB'로 본 계층별 사회경제적 특성> 보고서가 발행되었습니다 LAB2050은 부동산 자산을 통한 계층화와 고착화가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자체적으로 '한국 부동산 계층 DB'를 구축했습니다. 이 DB를 바탕으로 부동산 계층화 실태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를 다음 버튼을 클릭해 확인해보세요. 2 / 기본소득 연구활동도 이어왔습니다 이원재 대표가 보편적 복지로서의 기본소득과 사회서비스가 공정한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이라는 내용을 담은 '공정 사회를 만드는 새로운 복지'를 공동집필했습니다. 23일(월)에는 <2022 사회 대전환을 위한 충분한 기본소득 실현 국회 토론회>에 토론자로 참여했습니다. 3 / '위드코로나'를 위한 초회복 전략 정부에서 백신 1차 접종을 마치는 9월 말 이후 '위드코로나' 전환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LAB2050에서는 작년에, '코로나 0년, 초회복의 시작'이라는 책을 통해 과거로의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진단했습니다. 김현철 연구위원장도 <무엇이 코로나19의 종식인가?> 칼럼을 통해 코로나와 함께 살아야 하는 가까운 미래를 내다보았죠. 최근에는 학술세미나에서 지속가능한 위드코로나 전략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LAB2050_활동 "느닷없이 선진국이 되어버린 대한민국을 위한 조언"(W.박태웅) 김열매 연구위원이 진행하는 연합인포맥스 유튜브 콘텐츠에서 '눈 떠보니 선진국'의 저자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저자는 "서른이 넘어서도 아침저녁으로 키를 재고 있으면 이상한 것 아닌가?"라고 핵심을 찔렀습니다. GDP는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건강 수준을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고, 더 유용한 지표가 필요하다는 것이죠. 경제 규모로는 선진국이지만 질적 성장은 더디고, 문화지체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현실의 문제를 짚었는데요. 대한민국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조언으로 두 사람은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을까요?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에서 시장을 장악한 거대 플랫폼 기업이 드리운 그림자를 추적했습니다. 이원재 대표는 압도적 시장 지배자가 가격 결정권을 갖게 되는 구조를 설명했습니다. 독점 플랫폼 기업이 처음에는 소비자의 후생을 높였을지 몰라도, 점차 소비자의 후생을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인데요. 계열사를 확장해 교육, 금융, 여가문화 등 생활 대부분의 영역을 망라하다가 어느 순간에 가격을 인상하게 됩니다. '구글갑질방지법'과 같이 플랫폼 규제를 위한 법안이 계속 등장하고 있는 요즘, 새로운 독과점 양상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8월에는 유독 응원을 많이 받았습니다. '좋은 일 하시네요!'라는 쑥스러운 칭찬도 들었고요. 그래서 이번 달도, 고되지만 의미 있는 일을 해왔다고 생각합니다. 마음으로 보내주시는 격려도 차곡차곡 모아 힘차게 9월을 맞이하려고 합니다. 선생님의 9월도 누군가의 응원이 함께하고 있을 거예요. 🍁 먼슬리레터는 LAB2050의 새로운 소식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보내드리는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1분만 시간을 내셔서,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한 피드백을 전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먼슬리레터의 구성, 받으시는 시간대, 내용 등 어떤 것이든 좋아요. |
LAB2050이 그동안 발행했던 뉴스레터를 한 페이지에서 모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