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청년 삶 실태조사'라고 아시나요? 2020년 처음 제정된 청년기본법 제12조에 '국무총리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청년정책의 수립·시행 및 지원을 위한 연구사업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고요. 이 조항에 따라 처음 실시된 조사가 바로 '2022 청년 삶 실태조사'입니다. 총 열 세 명의 연구진이 참여해 이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보고서를 다운 받을 수 있는 링크도 공유합니다.
LAB2050은 서울시 청년허브로부터 위탁 받은 '청년정책의제연구 및 이슈브리프 작성'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2022 청년 삶 실태조사'의 연구책임자인 정세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의 강연을 기획했습니다. 주제는 '청년 삶 실태조사의 의미, 결과, 쟁점과 과제'입니다. 강연 뒤에는 강연자와 연구진, 참석자 간의 질의응답과 토론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강연은 9월 18일(월) 오후 7시부터 시작됩니다. 한 시간 동안 강연이 이어진 뒤에 한시간 동안 질의응답과 토론을 할 예정입니다. 강연은 온라인(zoom)으로 진행하고요. 신청한 누구든 참석이 가능하고, 무료입니다.
LAB2050이 수행하고 있는 '청년정책의제연구 및 이슈브리프 작성' 사업의 취지 중에 하나는 청년 담론의 새로운 지향을 찾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한 서울시 청년허브의 세미나(링크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도 함께 소개 드립니다. '글로벌 솔루션랩 웨비나'인데요. 주제는 '완벽하게 공정한 경쟁은 가능할까? : 엘리트 능력주의 기초한 '공정 신화'' 입니다. 기조발제는 <엘리트 세습> 저자인 대니얼 마코비츠 예일대 로스쿨 교수, 토론자로는 <공정 이후의 세계> 저자인 김정희원 애리조나주립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변금선 서울연구원 1인가구·청년정책 연구그룹장입니다. 이 웨비나는 9월 19일 오후 7시 30분에 열립니다.